맨위로가기

에두아르 뤼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두아르 뤼카는 19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소수 판별법 연구, 뤼카 수열을 이용한 2127-1의 소수 증명, 대포알 문제 증명 과제 제시, 음영 미적분 개발 참여, 켐프너 함수 최초 출판, 하노이 탑 퍼즐 발명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또한, 수론, 수학적 오락과 관련된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보나치 수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유럽에 소개하고 피보나치 수열을 제시하여 중세 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상업 발달을 돕는 《산반서》를 저술하고 황금비와 관련된 피보나치 수열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도록 했다.
  • 피보나치 수 - 피보나치 힙
    피보나치 힙은 최소 힙 속성을 가진 트리들의 집합으로, 각 노드의 차수를 특정 로그 값 이하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삽입, 병합, 최소값 검색 연산을 지원하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같은 그래프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에 활용된다.
  • 아미앵 출신 - 에마뉘엘 마크롱
    에마뉘엘 마크롱은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앙 마르슈!(En Marche!)"를 창당하여 중도주의 정책을 표방하며 2017년과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프랑스의 현직 대통령이다.
  • 아미앵 출신 - 올리비에 블랑샤르
    올리비에 블랑샤르는 프랑스 출신의 거시경제학자로서, 국제 통화 기금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역임하고 신 케인즈 경제학을 연구하며 30권 이상의 저서와 15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 패혈증으로 죽은 사람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패혈증으로 죽은 사람 - 넬리 멜바
    넬리 멜바는 뛰어난 가창력과 무대 매너로 빅토리아 시대 후기와 20세기 초에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오페라 소프라노 가수이다.
에두아르 뤼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두아르 뤼카
에두아르 뤼카
본명프랑수아 에두아르 아나톨 뤼카
로마자 표기Peu-rang-seu E-do-a-reu A-na-tol Ryu-ka
출생1842년 4월 4일
출생지프랑스 아미앵
사망1891년 10월 3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학문 분야
분야수학
출신 학교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영향뤼카 수, 뤼카 수열, 뤼카 소수판별법, 뤼카-레머 소수판별법, 뤼카 소수, 뤼카 정리, 제나일-뤼카 자, 메나주 문제, 하노이 탑

2. 생애

아미앵에서 태어나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에서 공부했다.[1] 파리 천문대에서 일했으며, 이후 파리의 생 루이 고등학교와 샤를마뉴 고등학교에서 수학 교수가 되었다.[1]

1870년부터 1871년까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 프랑스 육군 포병 장교로 참전했다.[1]

뤼카는 특이한 상황에서 사망했다. 프랑스 과학 발전 협회(fr) 연례 회의 만찬에서 웨이터가 접시를 떨어뜨렸고, 깨진 접시 조각이 뤼카의 뺨을 베었다. 그는 며칠 후 패혈증으로 추정되는 심각한 피부 염증으로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뤼카의 소수 판정법 연구

뤼카는 소수 판정법을 고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1857년, 15세의 뤼카는 뤼카 수열을 사용하여 2127 − 1이 소수인지 손으로 검사하기 시작했다. 19년 후인 1876년, 그는 마침내 이 수가 소수임을 증명했다.[5] 계산기가 없던 시대였기에, 이는 손으로 계산한 것이었다. 이 수는 약 76년 동안 알려진 가장 큰 메르센 소수였다. 1952년, 계산기로 더 큰 소수가 발견되었지만, 뤼카가 발견한 소수는 손으로 계산하여 소수임을 확인한 최대의 소수로 남아있다. 데릭 헨리 레머는 뤼카의 판정법을 개선하여 뤼카-레머 소수 판정법을 확립했다.

1875년, 뤼카는 디오판토스 방정식

:\sum_{n=1}^{N} n^2 = M^2\;

이 1보다 큰 정수해로서 ''N'' = 24, ''M'' = 70을 유일한 해로 가짐을 증명하라는 문제를 제시했다.[8] 이 문제는 "뤼카의 캐논볼 문제"라고 불린다.[9] 뤼카 자신의 증명은 불완전했고, 타원 함수를 사용한 완전한 증명은 1918년에 처음 주어졌다.[10] 현재는 더 쉬운 증명이 알려져 있다.[11]

2. 2. 대포알 문제

1875년, 뤼카는 다음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유일한 해가 ''N'' > 1 일 때, ''N'' = 24이고 ''M'' = 70임을 증명하는 과제를 제시했다.[2]

:\sum_{n=1}^{N} n^2 = M^2\;

이것은 대포알 문제로 알려져 있는데, 땅에 정사각형으로 놓인 대포알을 가져와 그것들로 정사각뿔을 만드는 문제로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18년이 되어서야 이 사실에 대한 증명(타원 함수 사용)이 발견되었으며,[2] 이는 26차원의 보존적 끈 이론과 관련이 있다.[2] 최근에는 초등 증명도 발표되었다.[3][4]

2. 3. 레크리에이션 수학

뤼카는 레크리에이션 수학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바게노디에 퍼즐에 대한 우아한 이진법 해법을 찾았다.[7] 1883년에는 하노이 탑 퍼즐을 발명하여 ''N. 클라우스 드 시암''(''뤼카 다미앵''의 아나그램)이라는 별칭으로 판매했으며, 1889년에는 점과 상자 게임에 대한 설명을 처음으로 출판했다.

수학 퍼즐에도 흥미를 가져, 이진법을 사용하여 차이니스 링의 해법을 나타냈다. 또한, 현재에도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 교재로 자주 사용되는 하노이의 탑을 고안하여 판매했다. 하노이의 탑에 대해 뤼카는 유래로 N. Claus de Siam(타이의 클라우스)라는 이름을 언급했는데, 이는 Lucas d'Amiens(아미앵의 뤼카)의 아나그램으로 되어 있어, 모든 것이 뤼카의 창작으로 생각된다.

3. 저작


  • ''레옹 드 피즈와 고등 산술의 여러 작품에 대한 연구'' (1877)
  • [https://books.google.com/books?id=pL-ARs0Q47oC&pg=PA36 ''과학적 오락''] (1880)
  • [https://archive.org/details/thoriedesnombre00lucagoog ''수론''] 제1권 (1891)
  • [https://books.google.com/books?id=Ea8AAAAAMAAJ ''수학적 오락''] (1894)
  • [https://books.google.com/books?id=OBgPAAAAIAAJ ''재미있는 산술''] (1895)
  • Théorie des fonctions numériques simplement périodiques|단순 주기 수치 함수의 이론프랑스어 [1]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1(2), pp. 184-240 및 289-321, 1878,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부)
  • Théorie des fonctions numériques simplement périodiques|단순 주기 수치 함수의 이론영어 [2] (1969, 피보나치 협회) - 뤼카(1878)의 전반부 영문 번역.

참조

[1] 웹사이트 Édouard Lucas http://mathshistory.[...]
[2] 웹사이트 week95 http://math.ucr.edu/[...] Math.ucr.edu 1996-11-26
[3] 논문 An Elementary Proof of the Solutions to the Diophantine Equation 6y^2=x(x+1)(2x+1)
[4] 논문 The Square Pyramid Puzzle
[5] 웹사이트 Prime Curios!: 17014...05727 (39-digits) http://primes.utm.ed[...] Primes.utm.edu
[6] 웹사이트 Smarandache Function https://mathworld.wo[...]
[7] 간행물 Récréations scientifiques sur l'arithmétique et sur la géométrie de situation https://gallica.bnf.[...] G. Baillière 2019-05-13
[8] 문서 Question 1180
[9] 문서 リュカの元々の問題が、数式を用いずに球を並べるパズルとして提示されたことに由来する。
[10] 문서 The problem of the square pyramid
[11] 문서 The square pyramid puzz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